본문 바로가기
실업급여

일할 권리와 쉴 권리, 모두의 기본권입니다

by 일할권리쉴권리 2025. 4. 29.

 

일할 권리와 쉴 권리는 누구에게나 주어진 기본권입니다. 고용안정, 노동시간, 휴가, 상병수당까지 헷갈리지 않게 정리해드립니다.

[ 일할권리 & 쉴권리는 모두의 기본권 ]

 

일하는 것도, 쉬는 것도 인간답게 살아가기 위한 기본적인 권리입니다.
대한민국 헌법과 근로기준법은 이를 명시적으로 보장하고 있죠.

이 글에서는
✔ ‘일할 권리’와 ‘쉴 권리’가 어떤 의미인지,
✔ 왜 우리에게 꼭 필요한 권리인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 일할 권리(Working Rights)란?

'일할 권리'는 단지 직장을 가진다는 뜻이 아닙니다.
차별 없이, 정당한 대우를 받으며, 안전하게 일할 권리를 말합니다.

🔹 주요 내용

  • 고용권: 누구나 일할 기회를 가질 권리
  • 고용안정: 정당한 사유 없이 해고되지 않을 권리
  • 노동시간 보장:
    → 1일 8시간, 주 40시간 초과 시 추가수당(연장근로수당) 받을 권리
  • 평등권: 성별, 나이, 출신지역 등 이유로 차별받지 않을 권리

🛌 쉴 권리(Rest Rights)란?

‘쉴 권리’는 단순한 휴식 그 이상입니다.
건강하게 일하고, 아플 땐 쉴 수 있으며, 소득까지 보장받을 권리입니다.

🔸 주요 항목

  • 휴게시간
    → 4시간 근무 시 30분 이상,
    → 8시간 근무 시 1시간 이상의 휴게시간 보장
  • 휴무일
    → 주 1회 이상 휴일 보장 (주휴일)
  • 휴가
    → 연차휴가, 병가, 육아휴가 등
  • 아프면 쉴 권리
    → 질병·부상 시 불이익 없이 쉴 수 있는 권리
  • 상병수당
    → 아파서 일하지 못할 때 일정 기간 소득을 보장해주는 제도

🌱 쉴 권리를 보장하는 이유는?

1️⃣ 건강과 복지 향상

충분한 휴식은 노동자의 신체·정신 건강에 꼭 필요하며
업무 능력과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집니다.

2️⃣ 생계 안정

‘아프면 쉴 권리’와 ‘상병수당’은
→ 갑작스러운 질병이나 사고로 인한 소득 손실을 막아줍니다.

3️⃣ 인간 존엄성 보장

‘쉴 권리’는 단지 제도가 아니라,
사람답게 살 권리, 즉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는 기초적인 권리입니다.


🔚 마무리하며

일할 권리와 쉴 권리,
이 두 가지는 모두가 평등하게 누려야 할 권리입니다.

일할 권리가 없으면 삶의 기반이 무너지고,
쉴 권리가 없으면 건강과 존엄을 지킬 수 없습니다.

📢 여러분의 권리는 법으로 보장되어 있습니다.
당당하게 알고, 제대로 누리세요.

 

실업급여 신청 절차 & 준비 서류 한눈에 정리

https://unemployguide.tistory.co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