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동법11

알바생이라면 꼭 알아야 할 노동법 상식과 주휴수당 계산법 아르바이트를 하더라도 ‘근로자’입니다.근로기준법은 알바생에게도 적용되며, 반드시 지켜져야 할 권리가 있습니다.그중에서도 많은 분이 궁금해하는 주휴수당과 함께, 알바생이 꼭 알아야 할 노동법 상식을 정리했습니다.✅ 주휴수당이란?1주일 개근 시 지급되는 유급휴일 수당입니다.📌 즉, 일주일 동안 빠짐없이 근무하면하루치 임금을 추가로 지급받는 제도예요.✅ 주휴수당 지급 조건조건내용근로일수주 15시간 이상 근무근무형태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출근개근 여부결근 없이 1주 개근✅ 주휴수당 계산법👉 주급 ÷ 근무일 × 1일 근무시간 × 시급예시)시급: 10,000원하루 4시간씩 주 5일 근무 → 주 20시간주휴수당 = 4시간 × 10,000원 = 40,000원즉, 총 주급 = (20시간 × 10,000원) + 40,0.. 2025. 5. 2.
아르바이트 무기계약직 전환 요건 Q&A 비정규직, 단기 계약직, 아르바이트도 일정한 요건을 만족하면 무기계약직(정규직)으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아래 Q&A를 통해 자주 묻는 궁금증을 정리해 드릴게요.✅ Q1. 무기계약직 전환이란?A. 일정 기간 이상 근무한 비정규직 근로자를 정규직(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이때 ‘무기’란 정해진 계약 종료일 없이 계속 일할 수 있는 고용 형태를 뜻해요.✅ Q2. 아르바이트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될 수 있나요?A. 네, 가능합니다. 단, 일정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2년 이상 계속 근무한 경우기간제 근로자 보호법에 따른 자동 전환 대상일 경우✅ Q3. 전환 조건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되나요?A. 다음 조건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전환 가능성이 있어요:기간제 근로자로 2년 이상 계속 근.. 2025. 5. 2.
계약직·단기직 근로자를 위한 꼭 알아야 할 노동법 ✅ 1. 계약직도 ‘근로자’입니다근로기준법은 정규직뿐만 아니라 계약직·단기직에게도 적용됩니다.고용 형태가 다를 뿐, **기본적인 권리(임금, 근로시간, 휴가 등)**는 동일하게 보호받습니다.✅ 2. 근로계약서 작성은 필수단 하루만 일해도 서면 근로계약서 작성은 의무입니다.계약서에는 다음이 명시되어야 합니다:👉 계약기간, 업무내용, 근무시간, 임금, 휴일 등✅ 3. 2년 넘게 일하면 ‘무기계약직’ 전환 가능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4조계약직 근로자가 2년을 초과하여 계속 근무한 경우,사용자는 정규직(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단, 일부 예외 업종(대체근로, 전문직 등)은 제외✅ 4. 계약 만료 시 ‘해고 예고’ 필요 없음계약기간이 끝났다면, 별도의 해고 예고 없이 종료 가.. 2025. 5. 2.
해고 통보 받을 때, 반드시 알아야 할 내 권리 ✅ 1. 해고, 아무 때나 할 수 없다!근로기준법 제23조사용자는 정당한 이유 없이 근로자를 해고할 수 없습니다.✅ 즉, 사용자가 해고하려면 합리적인 사유가 있어야 합니다.(예: 지속적인 근무 태만, 회사 경영상 심각한 이유 등)✅ 2. 서면 통보는 필수!근로기준법 제27조해고 시 반드시 서면으로 통지해야 하며,서면 없이 구두로 통보한 해고는 무효입니다.📌 서면 통지서 필수 내용해고 사유해고 시기 (언제부터 적용되는지)✅ 3. 30일 전 예고 OR 해고예고수당 지급근로기준법 제26조해고하려면 30일 전에 예고하거나,그렇지 않으면 30일치 임금에 해당하는 해고예고수당을 줘야 합니다.📌 예외 (예고 없이 해고 가능한 경우):근로자가 고의로 회사에 손해 입힘3일 이상 무단결근수습 기간 3개월 이내 근로자 .. 2025. 5. 2.
초과근무 수당 계산법, 실전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 1. 초과근무 수당이란?법정 근로시간(1일 8시간, 주 40시간)을 초과해 일한 시간에 대해기본임금보다 더 많은 임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규정입니다.📌 법적 근거: 근로기준법 제56조“연장·야간·휴일 근로에 대해서는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 가산한 임금을 지급해야 한다.”🧮 계산 방식 총정리근무유형시간구분수당계산법연장근로1일 8시간 초과시급 × 1.5야간근로밤 10시~새벽 6시시급 × 1.5휴일근로공휴일/주말 등시급 × 1.5 (연장 시 ×2.0도 가능) ✅ 2. 실전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예시 조건:시급 10,000원하루 10시간 근무 (밤 9시~밤 12시 포함)계산:기본 8시간: 10,000원 × 8 = 80,000원연장근로 2시간: 10,000원 × 1.5 × 2 = 30,000원야간근로.. 2025. 5. 2.
주휴수당과 연차휴가, 누구나 받을 수 있을까? 🟢 주휴수당: 일한 자의 당연한 권리!📌 주휴수당이란?1주일간 소정근로일(예: 월~금)을 개근한 경우,유급으로 하루를 쉴 수 있는 권리입니다.회사에서 일을 안 해도 정상 근로한 것처럼 하루치 임금을 지급해야 해요. ✅ 주휴수당 조건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소정근로일을 개근근로형태에 상관 없이 정규직·알바·단기직 모두 해당 ✅ 계산 예시시급 10,000원 × 8시간 = 80,000원 → 하루 주휴수당👉 주 5일 근무하면 월 4회분 약 320,000원이 추가로 발생 ❌ 자주 있는 오해“주말에 출근 안 하면 안 줘요?” ❌→ 일한 날(소정근로일)을 빠짐없이 출근하면 됩니다.“일용직은 안 줘요?” ❌→ 주 15시간 이상 & 개근 시 지급 대상입니다.🟢 연차휴가: 근속기간에 따라 생기는 유급휴일📌 연차.. 2025. 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