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동법

아르바이트 무기계약직 전환 요건 Q&A

by 일할권리쉴권리 2025. 5. 2.

비정규직, 단기 계약직, 아르바이트도 일정한 요건을 만족하면 무기계약직(정규직)으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아래 Q&A를 통해 자주 묻는 궁금증을 정리해 드릴게요.


✅ Q1. 무기계약직 전환이란?

A. 일정 기간 이상 근무한 비정규직 근로자를 정규직(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이때 ‘무기’란 정해진 계약 종료일 없이 계속 일할 수 있는 고용 형태를 뜻해요.


✅ Q2. 아르바이트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될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단, 일정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 2년 이상 계속 근무한 경우
  • 기간제 근로자 보호법에 따른 자동 전환 대상일 경우

✅ Q3. 전환 조건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되나요?

A. 다음 조건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전환 가능성이 있어요:

  1. 기간제 근로자로 2년 이상 계속 근무한 경우
    • 고용 형태와 상관없이 2년 초과 시 무기계약직 전환 대상이 됩니다.
  2. 동일한 업무를 계속 수행한 경우
    • 단기계약을 반복하며 동일 업무를 맡았다면 ‘상시 업무’로 간주될 수 있어요.
  3. 사용자가 고의로 반복 계약을 통해 정규직 전환을 회피한 경우
    • 법적으로 부당한 회피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 Q4. 아르바이트도 노동청에 진정 넣을 수 있나요?

A. 네, 계약서 작성 여부, 근로기간, 업무내용 등을 토대로 노동청에 진정 가능합니다. 무기계약직 전환 대상인데도 거부당했다면 근로감독관에게 진정서를 제출해보세요.


✅ Q5. 무기계약직 전환 시 어떤 변화가 있나요?

A. 고용이 안정됩니다. 계약 종료 걱정 없이 근속 가능하고, 연차·퇴직금·복지 혜택 등도 보장되는 경우가 많아요.


📌 마무리 TIP

  • 아르바이트라고 해도 법적 권리는 존재합니다.
  • 2년 이상 근속, 계속 반복 계약, 동일 업무는 핵심 키워드!
  • 본인의 근무 기록을 정리해 두면 법적으로 유리합니다.

📥 더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