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동법

실제 부당해고 사례 모음과 법원의 판단

by 일할권리쉴권리 2025. 5. 1.

부당해고란, 정당한 이유 없이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해고 요건을 지키지 않은 경우를 말합니다. 근로기준법과 판례에 따라 다양한 사례가 부당해고로 인정되고 있으며, 근로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실제 사례와 함께 법원의 판단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 사례 ① 계약 종료 전, 일방 해고

상황:
A씨는 6개월 계약직으로 입사했으나 4개월 만에 "성과 미달"을 이유로 해고 통보를 받음.

판단:
계약기간이 명시되어 있었고, 특별한 사유 없이 계약기간 전에 해고한 것은 부당해고로 인정.
→ 사용자는 계약 기간을 지켜야 하며, 특별한 사유 없이 해고할 수 없습니다.


✅ 사례 ② 임신 중 해고

상황:
B씨는 임신 사실을 밝힌 후 갑작스럽게 해고 통보를 받음.

판단:
모성보호를 위한 법률 위반. 임신 또는 출산을 이유로 한 해고는 무효로 간주됨.
→ 남녀고용평등법 위반. 부당해고 인정.


✅ 사례 ③ 사직서 제출 강요

상황:
C씨는 관리자가 “이제 안 맞는 것 같으니 스스로 나가라”며 사직서를 강요받고 제출함.

판단:
자발적 퇴직이 아니라면, 강압적으로 제출된 사직서는 효력이 없음.
→ 해고로 간주되며, 부당해고 인정.


✅ 사례 ④ 단순한 실수로 인한 해고

상황:
D씨는 신입사원으로 몇 차례 실수를 했다는 이유로 한 달 만에 해고됨.

판단:
단순 실수나 업무 미숙은 해고 사유가 되지 않음. 경고 후 개선 기회 제공이 우선되어야 함.
→ 부당해고.


✅ 사례 ⑤ 정리해고 요건 미충족

상황:
E회사, 경영상 이유를 들어 직원 3명을 정리해고함.

판단:
정리해고는 요건이 매우 엄격함. 해고 회피 노력, 근로자 대표와 협의 등이 없었다면 무효.
→ 정리해고 요건 미달로 부당해고.


🧾 부당해고를 당했다면?

  1. 노동위원회 구제신청 (해고일로부터 3개월 이내)
  2. 지방노동청 신고 또는 법원 민사소송 가능
  3. 복직 또는 해고기간 임금 청구 가능

📌 마무리

부당해고는 단순히 일자리를 잃는 것이 아니라, 노동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중대한 문제입니다. 해고 통보를 받았다면 침착하게 상황을 기록하고, 전문가 상담이나 노동기관에 문의하세요. 여러분은 보호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 노동 관련 문의처

  1.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 1350 (유료)
    • 전국 어디서나 이용 가능
    • 근로기준법, 해고, 임금체불, 퇴직금, 근로계약 등 전반적인 노동 상담 가능
  2. 지방고용노동청
  3. 근로복지공단
    • 산재·고용보험, 실업급여, 상병수당 등 보험 관련 상담
    • ☎ 1588-0075
  4. 노동조합 또는 시민단체
    • 민주노총, 한국노총 등 노동조합
    • 노동OK, 직장갑질119 등의 시민단체에서 무료 법률상담 제공

 


#부당해고 #노동법사례 #해고통보 #근로자권리 #해고부당함 #노동위원회 #근로기준법 #직장상식 #직장인필수정보